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노후관 교체로 ‘붉은 수돗물’ 예방해야

노후관 교체로 ‘붉은 수돗물’ 예방해야

 

인천에서 발생한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의 원인이 거의 100% 인재로 밝혀졌다. 환경부 조사결과 풍납취수장과 성산 가압장의 전기 계통 점검으로 공촌정수장 가동이 중지되면서 인근 수산·남동정수장 정수를 대체 공급하는 과정에서 일어났으며, 무리한 수계전환이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특히 역방향 수계전환시 순방향 유량의 두 배가 넘는 3500㎥로 역방향 유량을 증가시켜 관벽에 부착된 물때가 떨어져 바닥침전물과 함께 가정에 공급됐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를 바라보면서 광주도 예외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이 초동 대처가 미흡한 측면도 있지만 낡은 수도관을 교체하지 않은 데 근본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광주는 전국 광역시 가운데 30년이 넘은 노후 수도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녹과 찌꺼기가 쌓여 만든 ‘붉은 수돗물’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환경부의 ‘상수도통계 2018’에 따르면 광주시의 경우 30년이 초과된 노후 수도관은 21.1%를 차지해 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7년 광주시의 수도관 교체율은 0.3%, 전남도는 0.7%였다.
또 노후된 수도관에 대해 세척·갱생 등 개량작업은 광주시는 0.8%였고, 전남도는 수도관 세척·갱생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전문가들은 광주에 30년이 넘는 낡은 수도관이 많은 점을 미뤄볼 때 ‘붉은 수돗물’ 사고는 언제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광주시는 올해 상수도 교체 비용으로 162억원을 투입해 45㎞를 교체할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예산부족으로 매년 노후된 수도관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광주시는 ‘붉은 수돗물’ 예방을 위해 제수변 관리와 함께 노후 수도관에 대한 안전 실태조사가 시급한 실정이다. 취약지역을 사전에 탐색해 노후 수도관을 우선 교체해 만약의 사태를 선제 예방해야 한다. 아울러 상수도 수계를 전환할 때는 수계전환지역의 배관도와 밸브 등에 대한 도면을 작성하고 현장조사에서 문제가 발견되면 통수 전에 대책을 수립하는 등 사전 조치에 소홀함이 없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