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대전교육센터에서 박준수 광주매일신문 경영사업이사가 ‘지방신문 플러스경영 가능할까-수익사업에서 희망 찾기’를 주제로 금강일보 기자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신문산업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선 ‘기업가적 저널리즘’이 요구됩니다. 저널리즘에만 충실하면 된다는 경직된 사고가 오히려 독이 돼 저널리즘마저 위태롭게 만들고 있습니다.”

금강일보는 지난 24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대전교육센터에서 박준수 광주매일신문 경영사업이사(전 편집국장)를 강사로 초빙, ‘지방신문 플러스경영 가능할까-수익사업에서 희망 찾기’를 주제로 기자 교육을 실시했다.

경영학 박사인 박 이사는 이날 강의를 통해 “지역신문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지역신문이 살기 위해선 시장지향적인 사업다각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신문사도 기업이므로 자립기반을 확립하지 않고선 저널리즘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기업 마인드로 저널리즘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장은 기업보다 빨리 변한다. 시장이 변하고 소비자가 변하는 상황에서도 신문사는 폐쇄적인 시스템을 고수해왔다”며 기업가적 저널리즘 구현을 위해 ‘사업다각화’, ‘멀티비지니스 전략’ 등을 키워드로 제시하고, 지역신문의 사업다각화를 “브랜드 공신력과 네트워킹 자산을 활용해 신문과 광고 이외의 새로운 상품을 시장에 판매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박 이사는 수익사업 추진 시 검토해야 할 핵심포인트로 ▲차별성·창의성·공익성·수익성을 충족하는가 ▲지역·독자·신문사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가 ▲지면(편집국), 사업(사업부서), 지역(지자체·기업·독자)이 공조 가능하고 지속성이 있는가 등을 꼽고, “시장 속으로 들어가 길을 찾아야 한다. 향토자원을 발굴해 상품화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조직의 패러다임을 ‘신문만 만드는 기업’에서 ‘신문도 만드는 기업’으로 과감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며 “독자지향성 미디어에서 시장지향성 기업으로 지평을 확장하고, 창조와 혁신, 전략적 기업 활동으로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라”고 역설했다.

박 이사는 “지역신문사에게 플러스경영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일반기업에 비해 유리한 조건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인적자원을 잘 활용하면 작지만 강한 언론이 될 수 있고, 지속가능한 언론의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