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5·18 전문연구인력 양성 적극 나서야 한다

5·18 전문연구인력 양성 적극 나서야 한다

 

내년이면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된다. 강산이 4번이나 바뀌는 긴 세월이 흐른 셈이다. 그 간 5·18민주화운동 정신계승 전국화·세계화에 힘써왔지만 5월 행사기간에만 반짝했을 뿐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미래 세대들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전문 연구자의 체계적인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정기 전남대 5·18연구소장은 학문 후속세대를 길러내고 관련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소장은 “30년 가까이 5·18연구가 진행돼 왔지만, 실제 5·18 연구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다”며 “대학연구소의 역할을 강화하고, 전임 연구원을 배치하는 등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18 관련 학술논문은 매년 수십건씩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5·18 전문 연구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이는 5·18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최 소장이 분석·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18 관련 학술논문(2006~2015년)은 모두 294명이 433편을 발표했다. 이는 6·25전쟁을 제외한 단일 사건 관련 논문 중 가장 많은 양이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5월운동 관련(기억·과거 청산)이 103건(23.8%)로 가장 많았고, 의미·성격 규정이 101건(23.3%)로 뒤를 이었다. 이어 예술·문화운동(84건), 5·18사건 관련(47건), 5월 운동의 영향과 효과(34건), 5·18과 지역·반미(27건), 5·18과 다른 사건 비교(16건), 왜곡(13건), 교육(8건) 순이었다.
이와 관련해 최 소장은 매년 평균 43.3건이라는 적지 않은 5·18 관련 논문이 작성되고 있지만, 대부분 독자적인 연구가 아닌 ‘끼워넣기식 연구’라고 주장했다. 최 소장은 “5·18 전문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원 과정을 만들어 석·박사를 배출하고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며 “장기적인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2년 단위 이상 프로젝트에 연구비가 지원돼야 하고 전국·국제 네트워크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5·18 전문연구인력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