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2005~2010)

나주 혁신도시의 '에코타운' 방안 

나주 혁신도시의 '에코타운' 방안 


입력날짜 : 2008. 06.24. 00:00

 박준수 경제부장
 
 새 정부 들어 실용노선의 걸림돌로 인식되며 기능재편 및 축소논란에 휩싸였던 혁신도시가 우여곡절끝에 당초 계획대로 정상 추진되는 방향으로 매듭지어지고 있어 천만다행이다.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사업으로 추진된 혁신도시가 정권이 바뀌고 정책이념이 다르다고 하루 아침에 되물리려는 처사는 국정의 신뢰훼손은 물론 절차적 민주주의 원칙에도 맞지않은 발상이었다. 특히 나주 혁신도시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의 철학을 담아 '빛가람' 도시로 명명하고 명품도시로 건설하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마당에 '전면수정' 운운하는 것은 시·도민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셈이었다.
 한미 쇠고기 추가협상에 이어 혁신도시 등 주요 현안사업들이 국민의 기대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궤도수정한 것은 어쩌면 사필귀정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아무튼 나주 공동혁신도시가 논란과 혼란을 뒤로하고 본격적인 순항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따라서 이제 과제는 혁신도시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지자체와 시·도민이 지혜와 역량을 한데 모으는 일이다. 한전본사를 비롯 한전기공(주),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DN(주) 등 주요 에너지 공기업이 둥지를 틀게될 '빛가람' 도시는 날로 쇠약해져가는 광주·전남에게 커다란 발전의 전기를 마련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관련 지난 20일 나주 동신대에서는 조촐하지만 뜻깊은 포럼이 열렸다. '공동혁신도시 이전기관과 연계된 전략·연고산업의 육성포럼'이라는 긴 이름을 가진 이날 포럼의 주제는 '공동혁신도시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활용방안'. 다소 학술적인 주제임에도 방청석에는 축산농가 등 60여명의 주민이 자리를 지키고 앉아 4시간 가량 진행된 주제발표와 토론내용에 귀를 기울였다.
 축분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주민들에게 축분을 활용한 에너지 자원화 방안은 분명 생업과 직결된 문제이자 혁신도시의 이미지 형성에도 민감한 사안이었던 탓이다.
 축분은 현재 대부분 축산폐수처리장을 통해 걸러지고 슬러지(찌꺼기)는 1톤당 2만8천원의 비용을 들여 해양투기되고 있는데 오는 2012년 이후부터는 국제협약에 의해 해양투기가 금지돼 근본적인 처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나주는 전남 축산의 30%를 차지하는 지역이어서 축분처리 문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날 주제발표에서 축분의 에너지자원화 방안은 크게 2가지가 소개됐다. 하나는 축산분뇨를 발효시켜 바이오가스와 퇴비를 생산하는 방식(전병관 동신대교수)이고, 또 하나는 축분을 고형연료화해 산업용 보일러 연료나 열병합발전의 에너지로 사용하는 방식(채수현 (주)옥산 I.M.T플랜트 부장)이다.
 이 두가지 방식은 현재 독일 등 유럽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가스와 퇴비를 생산하는 방식은 비교적 간단해 농가 또는 마을단위로 적은 비용으로 처리시설을 만들어 보급할 수 있으나 사료사육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퇴비활용도가 낮고 악취문제가 과제로 남는다. 반면 고형연료화는 시설투자비가 막대하고 수거과정 등 중간과정이 수반되지만 과학적 처리로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축분의 에너지자원화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환경적 측면에서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날 주민들은 처리시설이 들어설 경우 입지를 어디로 할 것인가와 단위당 처리비용이 얼마나 될 것인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그만큼 이 문제가 해당 지역민들의 이해관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혁신도시 성공의 열쇠는 이제 지역민의 손에 달렸다. 에너지공기업이 들어서는 혁신도시답게 '자원순환형 에코타운'을 표방하는 빛가람도시가 광주·전남에게 희망의 빛을 안겨주도록 지금부터 세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