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광주 민간공원 개발 환경보전과 조화돼야

광주 민간공원 개발 환경보전과 조화돼야

 

광주시가 민간공원 6곳에 대한 2단계 특례사업을 추진키 위해 2일 민간거버넌스 위원, 공원 토지소유자, 주민 등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지난 1월 1단계 특례사업 대상으로 수량, 마륵, 송암, 봉산 등 4곳의 민간공원에 대한 우선협상자를 선정한 데 이어 3개월 만이다.
2단계는 중앙공원(300만6천㎡), 중외공원(243만9천㎡), 일곡공원(106만6천㎡), 송정공원(53만6천㎡), 운암산공원(36만9천㎡), 신용공원(10만㎡) 등 6곳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총 면적은 742만6천여㎡에 달해 1단계(4곳 132만㎡)와 비교할 때 6배에 달하는 규모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 사업자가 공원 부지의 30%를 개발하는 대신 나머지 70%를 공원으로 조성해 기부채납한다. 광주시는 전문가와 환경단체 등이 참여한 민관 거버넌스를 통해 공원 개발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또한 사업 대상 면적 중 국유지나 시유지 등 공유지를 제외하고 공원시설과 비공원 시설을 미리 구분해 사업자 제안을 받을 방침이다.
사업자가 선정된 1단계 개발부지(30%)에는 대부분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수도권 대형건설사들이 지역업체와 컨소시엄형태로 사업에 참여했다. 2단계 대상 공원 6곳 역시 아파트가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 2단계 대상공원은 대부분 도심 속에 위치해 시민사회와 환경단체가 보존을 주장하고 있는 곳이다. 광주시 주택보급률은 2008년 이후 계속 100%를 넘어서 2015년 12월 기준 103.5%로 공급초과 상태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중앙공원은 한 때 특급호텔 건립 부지로 거론될 만큼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이에 따라 향후 사업 추진 과정에서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2단계 특례사업 대상 공원 6개의 전체 면적만 742만여㎡에 달하는 데다, 도심속 공원이 대부분이어서 시민·환경단체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앙공원은 대형공원에 대한 국가공원 지정이 무산된 상태에서 공원개발 원칙이 무너졌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광주시는 공공성 확보와 도시공원 기능을 유지하는 기본 원칙에 충실하되 경관과 환경보전에 우선을 두고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