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현대차 완성차 공장 유치 반드시 성사 시켜야

현대차 완성차 공장 유치 반드시 성사 시켜야

 

노동계의 불참 선언으로 광주시-현대차 완성차 공장 투자협약이 불투명한 가운데 광주시가 이달 말을 ‘마지노선’으로 설정하고 현대차와 협상을 진행키로 해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 광주시와 현대차는 ▲연간 7만대 생산 보장 ▲주 44시간 근무 ▲연봉 3천500만원 ▲1천명 일자리 등을 전제로 협상을 재개한 상태다. 하지만 “협상이 10월을 넘기면 적자 발생에 대한 부담으로 광주에서 현대차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게 광주시 관계자의 절박한 판단이다. 10월 말을 협상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함에 따라 3주일의 기간동안 어떤 형태로 협상이 진행될지, 그리고 노동계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광주시와 현대차는 부담은 클 수 밖에 없다. 특히 고임금 저효율 생산구조와 강성노조 등을 이유로 해외 공장 신설에 나선 현대차로서는 투자에 대한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게다가 한국 GM공장이 떠난 군산시가 최근 현대차에 적극적으로 구애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대차 완성차 공장 광주 유치 좌초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형 일자리’의 첫 모델인 현대차 완성차 공장 유치는 독일 폴크스바겐의 ‘아우토(AUTO)5000’과 GM의 새턴(Saturn)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그러나 민선 6기 말에 시작된 현대차 투자협상은 지난달 19일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현대차 투자 협상 등 광주형일자리 불참을 선언하면서 노사민정 대타협의 틀이 깨졌다. 당시 노동계는 불참의 배경으로 연봉에 대한 시각차, 협상내용 미공개, 노동계 배제 등을 들었다.
이후 광주시의회, 광주 직업계 고교 교장단, 광주상공회의소 등 지역사회 내에서는 현대차 완성차 투자협약으로 광주형일자리 성공을 촉구하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중앙정부가 광주일자리 사업 예산을 전폭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만큼 현대차 완성차 공장 유치가 반드시 성사되길 바란다. “내 자식만큼은 실업자로, 비정규직으로 살게 하고 싶지 않다”는 지역민의 바램을 외면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