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광주형 일자리’ 상생정신으로 풀어야 한다

‘광주형 일자리’ 상생정신으로 풀어야 한다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제공해 줄 ‘광주형 일자리’가 8부 능선에서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 15일을 ‘데드라인’으로 설정하고 광주시와 현대차가 최종 협상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직접적인 쟁점은 근로조건과 노조교섭권, 생산차종을 둘러싸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이지만 민노총과 현대·기아차 노조의 반대, 글로벌 자동차 시장 침체에 따른 실적악화가 발목을 잡고 있다.
그럼에도 ‘광주형 일자리’는 반드시 태동시켜야 할 프로젝트이다. 오랜 기간 소외와 낙후로 점철된 광주·전남이 제조업 주도 생산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4차산업혁명 업종이나 문화콘텐츠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 산업이 결실을 맺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반면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연관효과가 커 지역경제 활성화에 커다란 지렛대역할을 하게 된다. 고용효과는 물론 부품산업이 확대돼 시너지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광주 경제에서 기아차와 삼성전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이 때문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독일 폴크스바겐의 ‘아우토(AUTO)5000’과 GM의 새턴(Saturn)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노동자들의 임금을 일정 부분 낮추는 대신 중앙정부와 광주시가 노동자들에게 주택, 육아, 교육, 의료 등을 지원해주는 내용이다.
정부와 정치권이 ‘광주형 일자리’의 실현을 위해 예산과 행정지원을 적극 내건 것도 일자리창출과 경제활성화를 가시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 민노총과 현대·기아차 노조가 반대의 명분으로 내건 값싼 임금과 노조결집력 약화는 ‘광주형 일자리’가 가져올 더 큰 효과를 고려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기득권을 고집하려다 소탐대실(小貪大失)할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지금 우리사회 시대적 화두는 ‘상생정신’이다.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고용절벽과 경제낙후를 슬기롭게 헤쳐가야 한다. 시, 현대차, 노동계가 얽힌 다자 협상 구조여서 서로의 입장차를 좁히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상생정신을 발휘해 이번 달까지 협상이 성사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