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5·18 현장 ‘505 보안부대’ 원형 보존해야

5·18 현장 ‘505 보안부대’ 원형 보존해야

 

5·18사적지 제26호로 지정된 옛 505보안부대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 사령부의 분신처럼 움직인 핵심부대로 여기에 끌려온 시민들은 모진 고문을 당했던 역사의 현장이다.
505보안부대는 2005년 광주31사단으로 이전한 뒤 2014년 광주시가 국방부로부터 부지를 넘겨받았다. 3만8천459㎡ 부지에는 지하 1층 지상 2층짜리 본관 건물과 내무반 별관, 면회실, 식당·이발소 등의 건물이 그대로 남았다.
군사시설이라는 이유로 10년 가까이 텅 빈 채 방치돼 온 이곳은 최근에서야 보존과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현재 광주시는 올해부터 5년 동안 108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부대 옛터를 역사체험․교육장과 유․청소년 창의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광주시는 5월 항쟁 이후인 1990년에 지어진 본관 뒤편의 내무반 별관 건물엔 청소년 창의 공간 등을 마련하고 유휴부지는 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5월 당시 이곳에 끌려와 고문을 당했다던 피해자들은 지금도 그 ‘악몽’에 치를 떨고 있다.
최근 열린 ‘505보안부대 보존과 활용 방안’ 토론회에서 송희성씨는 “지금까지 505보안부대 얘기만 들으면 손이 떨리고 가슴이 두근거려 힘들었다”며 “인근 거리를 지날 때면 고개를 돌리고 지나갔을 정도”라고 말했다. 김준태씨는 “505보안부대 지하실은 사람들로 꽉 차 있어서 옥상에 텐트를 쳐 놓은 곳에 갇혀 있었다”며 “이곳은 5·18을 폭도로 몰아간 신군부의 음모가 시작된 곳이다”고 증언했다.
이에 따라 복원과정에서 역사의 흔적이 지워질 수 있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은 ‘아픈 역사의 현장’으로 기억된 이곳을 원형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505보안부대는 5․18민중항쟁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만큼 광주시의 도시계획과 5․18민중항쟁 기념사업과의 연계 속에서 옛터의 활용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현장만큼 울림이 큰 증언은 없다. 희생자들의 아픔과 선행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프로그램을 고안해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다크 투어리즘’ 명소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