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전남도 ‘스마트팜’ 유치 농민 삶과 조화돼야

전남도 ‘스마트팜’ 조성 농민 삶과 조화돼야


전남도가 재도전 끝에 고흥만 간척지 일원에 농림축산식품부가 공모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유치에 성공했다. 지난해 1차 공모에서 고배를 마신 후 와신상담한 결과로 ‘농도 1번지’의 자존심을 회복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에 따라 고흥만 간척지 일원에 1천56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청년창업 보육센터 4.5㏊, 임대형 스마트팜단지 6㏊, 주민 참여형 단지 6㏊, 기술혁신단지 4.5㏊ 등 29.5㏊(핵심시설 22㏊․주민참여단지 7.5㏊) 규모의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게 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유치에 따라 사업별로 창업 보육의 경우 순천대, 전남대, 목포대 등 농업관련 지역 3개 대학이 참여해 창농뿐만 아니라 창업, 창직까지 가능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선도 농업인의 생산‧유통 노하우를 지역공동체로 확산하기 위해 주민참여형 단지, 스마트 육묘장 조성 등 지역 협업형 선순환 구조를 설계했다.
하지만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 등 4개 단체는 "스마트팜 혁신 밸리는 농업정책이라기보다 대규모 토목사업"이라며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원활한 사업추진이 우려된다.
이들은 “스마트팜 혁신 밸리가 없는 현재도 시설 하우스, 노지 채소 가격이 폭락해 농작물을 갈아엎고 있고 대규모 생산시설 단지의 주요 생산 품목인 파프리카와 피망, 토마토 가격은 생산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 수입 농산물 증가로 폭락을 거듭했다”면서 “가격 안정 대책도 없이 생산시설만 늘리면 다 같이 죽자는 것 아닌가”고 주장했다.
이들 농민단체의 주장은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생산과잉을 초래해 다수의 영세 농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짙게 깔려 있다. 전남도가 당초 해남을 유치 대상 지역으로 검토했다가 고흥으로 선회한 것도 해남지역 농민들의 반발이 컸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팜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고 고령화 등 어려운 지역농업의 현실에 해법을 줄 수 있는 사업이라고는 하지만 농업의 주체인 농민들이 의구심을 갖는다면 원활한 사업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 전남도는 농민단체와 충분한 소통을 통해 ‘스마트팜’ 유치가 농민 삶과 조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