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광주·전남 지역경제 ‘구조적 침체’ 우려 크다

광주·전남 지역경제 ‘구조적 침체’ 우려 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광주·전남 지역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광주전남지역 경제성장의 특징 및 정책대응방향’)에 따르면 2010-2016년 기간 광주의 GRDP(지역총생산) 성장률은 2.4%로 광역시 평균 수준(2.4%)이나 성장률 하락폭(-1.9%P)은 광역시 평균(-1.4%P)보다 컸다. 전남의 경우 GRDP 성장률은 2.1%로 광역도 평균(3.3%)보다 낮고 성장률 하락폭(-1.0%P)은 광역도 평균(-1.4%P)보다 작았다.
이처럼 광주·전남 지역경제 성장률이 부진한 것은 광주·전남은 제조품목의 생산과 수출 성장세가 둔화되었고 설비투자 및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R&D 등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선제적 투자마저 미흡했다. 게다가 저출산·고령화, 인구 유출 등 생산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어 경제성장세 저하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아울러 청년 고용사정도 양호한 편이 아니다. 최근 5년간(2012-2017년) 청년실업률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낮은 실정이다. 2017년중 광주와 전남의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39.9%, 37.7%로 광역시 평균(45.4%)과 광역도 평균(44.5%)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는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가 많기 때문인데, 광주는 광역시중 제일 높은 수준이며, 전남은 전북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광주의 비경제활동인구중 취업준비생은 29.0% 수준으로 제주(32.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투자, 고용, 성장 측면에서 볼 때 광주·전남 지역경제가 ‘구조적 침체’에 갇힐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지역내 주력 제조업 제품 고도화와 신산업 분야 발굴 등 신성장동력 확충이 절실하다. 또한 지역별로 거시경제, 산업구조, 청년고용 시장의 수급상황이 상이함에 따라 이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지역별 모니터링 강화 및 일자리 통계 확보가 필요하다. 오는 7월 새로 출범하는 민선 7기는 지역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 신규 일자리 창출력 회복에 최우선 목표를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