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대입 ‘학생부 전형’ 불공정 요소 개선해야

대입 ‘학생부 전형’ 불공정 요소 개선해야


대입 수시전형의 대세로 자리잡은 학생부 종합전형이 평가방식과 운용과정에서 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 개선이 요구된다. 본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 ‘제1차 광주 대입정책 포럼’에서 입학사정관과 현직교사 등 발표자들은 학생부 종합 전형이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깜깜이 전형’이고, 사회경제적 배경에 당락이 좌우될 소지를 안고 있어 ‘금수저 전형’이 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발표자들이 지목하는 ‘학생부 전형’ 불공정 요소로는 평가자와 평가항목 등 평정과정의 결함, 운영상의 변칙성이 꼽히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날 차정민 중앙대학교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문제점으로 ▲학교 수업의 수능·학생부 종합전형 이원화 프로그램 운영 ▲평가 자료 작성의 부담 ▲지역 학교 특성에 따른 학생부 기재의 학교 차이(불균형) 등을 들었다. 그는 "대학별 평가결과 공개를 제도화하고 학생 중심 수업 활성화로 학교 내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생부종합전형에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며 "공교육 위주 평가 원칙을 재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입학사정관의 신분이 불안정해 교수위촉사정관에 의존한 평가를 하고 있다"며 "전임 입학사정관 신분을 안정화하고, 학생부 종합전형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학별 전형 모형을 안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신희돈 광주 광덕고 교사는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참여 대학 61개교 중 11개교가 학생부 종합전형 서류 심사와 면접에서 부모 직업을 평가에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 교사는 "컨설팅업체가 제공한 자료를 학생과 학부모가 교사에게 제공해 과장된 허위 활동내용이 기재될 수 있고 내신 상위권 학생에게 스펙을 몰아주는 불공정 전형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생부 전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위에서 제기된 불공정 요소를 개선하는 게 급선무이다. 특히 블라인드 평가의 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하고 부모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지 않도록 해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