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6·13 선거 인물과 정책도 꼼꼼히 살피자

6·13 선거 인물과 정책도 꼼꼼히 살피자

 

6·13 지방선거가 채 한달도 남지 않았지만 선거 열기는 오히려 시들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 경선이 끝나면서 시민들의 관심이 급격히 떨어진 데 따른 현상이다. 이는 남북정상회담 성공 등으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국정지지율이 민주당에 그대로 전이된 데다 민주평화당과 바른미래당 등 호남기반 야당들이 제대로 전열을 갖추지 못하면서 팽팽한 대결구도가 만들어지지 못한 결과로 풀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선거에서 곱지 않은 시선으로 비춰진 ‘민주당 경선이 곧 본선’이라는 등식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지방자치 역사가 짧고 중앙당의 입김이 센 상황에서 중앙정치의 흐름이 지방에 곧바로 영향을 미치는 한국적 정치특성을 반영한 것이지만, 참다운 일꾼을 뽑는 풀뿌리선거에 특정당에 대한 지나친 쏠림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나 그동안 선거문화의 개혁으로 군소정당과 무소속으로 나온 후보 가운데도 능력있는 인사가 적지 않음을 볼 때 선거열기가 빨리 사그라드는 것은 지방자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선거는 정당과 인물과 정책을 두루 살펴서 최적의 일꾼을 뽑는 과정이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는 민주주의 구현에 방점을 두고 이념성에 치중해서 선택기준을 정했지만 민주정부가 들어서고 남북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물과 정책에 초점을 두고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럴려면 지금 우리 지역구에서 누가 출마했고 어떤 정책과 공약을 내걸었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지역현안 문제에 대해 누가 깊이 있고 참신한 해결책을 제시했는지 눈여겨 봐야 한다. 또한 6·13 지방선거에서는 교육감과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도 함께 치러지므로 각각의 후보들을 잘 분별해야 한다.
민주주의는 선거과정에서 치열한 정책의 경쟁과 공론화를 통해서 성숙한다. 그리고 유권자의 참여와 수고로움을 요구한다. 앞으로 지방분권 개헌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주민의 자치역량은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 선거 무관심이 자칫 지방자치를 후퇴시킬까 걱정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