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다시읽기

광주 재개발 지구내 ‘생활유산’ 보존 필요

광주 재개발 지구내 ‘생활유산’ 보존 필요

 

광주에도 구도심을 중심으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붐을 이루고 있어 머지않아 도심이 아파트 숲으로 채워질 전망이다. 광주시에 따르면 2018년 7월 현재 재개발·재건축사업 대상지구는 28개소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24개소는 이미 사업승인이 끝나 공사가 추진중이고 나머지 정비구역 4곳은 사업추진을 준비중에 있다. 특히 정비구역 4곳은 동구 산수 3구역, 지산 1구역, 북구 중흥, 광산구 동서작 등 구도심 지역으로서 산수 3구역을 제외한 3곳이 추진위가 구성돼 있는 상태이다.
그동안 광주의 아파트 건설은 외곽에 조성된 대규모 주택단지를 중심으로 집중돼 왔으나 2014년 이후 주택조합이 활성화되면서 구도심내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흐름이 바뀌었다.
구도심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해소하고 상권을 살린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도심경관 저해와 교통체증 유발 등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사업지구내 기존 건물이나 시설을 완전 철거 후 아파트를 짓기 때문에 그 곳에 오랜 시간 형성된 역사와 문화 자원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일들이 반복되고 있다.
남광주역 일대 학동·방림동은 해방이후 광주시가지 형성 초기에 조성된 오래된 동네로 숱한 애환과 역사가 스며있는 곳이나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선 채 옛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다. 사업 주체가 사업성에 치중한 나머지 보존가치가 높은 건물이나 골목길 등 ‘생활유산’을 보존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걸림돌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재개발·재건축 사업시 유형문화재는 물론 과거 주민들의 생활모습이 담겨 있는 ‘생활유산’을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자체 가운데는 서울시가 최근 사업지구내 원형이 보존된 건물에 마을박물관 또는 기념관을 조성해 과거 주민삶의 흔적이 담긴 영상 등을 전시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사업성 보완을 위해 사업지구 허용용적률을 높여주거나 기념관 설치에 드는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주시도 아직 사업승인이 나지 않은 지구에 대해 보존가치가 높은 건물이나 골목길 등 ‘생활유산’을 보존하는 도시재생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